건축사님이 설계해주신 설계도를 보면, 방마다 숫자가 적혀 있는데, 이게 얼마나 큰지, 얼마나 작은지 감이 안옵니다.
공간의 크기에 대해 특별히 훈련을 하지 않은 이상 당연합니다.
모눈종이
를 사용하면, 설계도의 숫자가 의미하는 크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🏡 모눈종이 준비
모눈종이를 준비합니다.
인터넷에서 모눈종이를 검색하면, 굳이 문방구에 가지 않아도 모눈종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.
우리가 원하는 것은 정확한 크기가 아니라 상대적인 크기를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, 모눈종이가 정확할 필요는 없습니다.
모눈종이의 한 칸이 1mm짜리가 있고, 2mm짜리가 있는데, 제가 그려보니, 2mm
가 적당했습니다.
🏡 지금 살고있는 집 평면도 구하기
모눈종이가 준비되었으면,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정보가 필요합니다.
만약 아파트에 산다면, OO아파트 평면도
를 검색합니다. 의외로 검색이 됩니다.
단독 주택에 살거나 아파트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는다면, 직접 자를 가지고 각 방의 크기를 잽니다. 이 때, 벽 두께는 무시합니다. 나중에 비교할 때, 감안해서 생각합니다.
🏡 모눈종이에 지금 집 그리기
지금 살고 있는 집을 모눈종이에 그립니다.
저는 1,000mm를 10칸
으로 잡았습니다. 즉, 10cm가 1칸인 셈인데, 평면도의 1,000단위는 모눈종이의 10칸이라고 생각하면, 계산이 쉬워집니다.
지금 살고있는 집을 다 그렸으면, 한 벌을 더 그립니다. 두번째로 그릴 때는 더 빨리 그릴 수 있습니다.
두번째 그림에서 방을 중심으로 가위
로 오립니다.
🏡 모눈종이에 미래의 집 그리기
이제 건축사님이 주신 설계도를 모눈종이에 옮깁니다.
🏡 방 크기 느끼기
다 그러졌나요?
이제 가위로 오린 방을 신축 모눈종이에 대봅니다.
내가 알고 있는 방의 크기와 새로 지을 방의 크기는 얼마나 다른지, 화장실의 크기는 얼마나 다른지, 거실, 다용도실 등등 그 크기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.
🏡 가구 등 집기 배치가 궁금해 졌다면
앞으로 가구 등도 배치하려면 그 크기에 대한 감이 있어야 합니다.
자를 가지고 다니면서 그 크기를 체험합니다. 책상의 크기, 싱크대의 크기, 식탁의 크기, 소파의 크기 등등
이 방법은 처음으로 공간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추천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.
모눈종이로 가구 배치나 집안 집기를 이리저리 배치해보는 방법도 좋겠습니다.
0 댓글